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48

[Windows 10] USB 없이도 PC 초기화 할 수 있게 하기

이 글에서는 USB 없이도 Windows 10을 원하는 때에 언제든지 초기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나는 내장기능 빠돌이기 때문에 윈도우 내장 기능 / 도구를 이용하는 것을 정말정말 좋아한다. Windows를 초기화하는 방법으로는 USB / DVD 등의 별도 미디어를 이용한 윈도우 재설치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매번 USB에 Windows 10 설치 미디어를 담아놓을 수도 없는 노릇이고, Windows 10 전용 설치 미디어 USB를 구입하기도 좀 그렇다. 물론 4GB정도 되는 USB를 만원 이하로 사서 쳐박아 놓는것도 방법이지만서도... 나같은 사람은 그 USB를 찾기 귀찮거나 잊어버리고 만다. 그런데 Windows 10에서는 그것 보다 훨씬 더 간단한 방법이 있다! (사실 윈도우 10을 기준으로..

윈도우 2017.01.09

[Windows 10] 라이브러리 폴더 변경하기

딱히 어려울 것도 없어서 간단하게 사진 한장으로 끝내려고 한다. 그냥 각 라이브러리 폴더 (문서, 바탕화면, 다운로드, 사진, 음악, 동영상)를 우클릭 해서 속성에 들어가서 위치 탭을 보면 위와같이 나온다. XP 시절엔 레지스트리를 수정해야되서 내가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배포하기도 했지만... Windows 10에선 그런 쓰잘데기 없는 짓은 할 필요가 없다. 가볍게 수정만 하면 된다. 물론 이 6번의 반복도 노가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을 위해서 프로그램을 만들어 볼 의향은 있다.

윈도우 2016.12.28

[Windows 10] USB / 외장하드에 Windows를 설치하기 (2 / 3)

이번에는 USB / 외장하드"로" Windows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흔히 쓰는 방법처럼 rufus를 이용해 ISO 통째로 USB에 덮을 수는 없다. rufus를 띄워보면 알겠지만.. rufus는 파티션이 아니라 USB 통째로 파티셔닝하고 포멧하고 이미지를 덮기 때문이다. (저번에 했던 삽질을 물거품으로 만들려면 해도 말리지 않는다.) 본격적으로 시작하기에 앞서 전제사항은 앞에서 썼던 드라이브 문자와 경로를 그대로 갖다 쓰는 것으로 한다. (EFI 드라이브 문자: S:\, Windows 드라이브 [USB] 문자: E:\, 설치 이미지 드라이브 문자: G:\, 작업 폴더: C:\WIMimage) 1. 먼저 G:\sources [Image] 폴더를 E:\sources [USB]로 복사한다..

윈도우 2016.12.28

[CentOS 7] 노트북에서 한글키 설정 (GNOME 환경)

CentOS 7 노트북에서 한글키 설정 방법! 설치 환경은 CentOS 7 (서브버전 1511)에 Gnome 데스크톱 환경 으로 세팅했다. 왜냐하면, 예전에 최소 설치로 했다가 엄청 엄청 귀찮게 하나부터 열까지 다 해야됬던 기억이 있어서... 아무튼 설치는 그놈으로 해주고 재부팅까지 끝나면 언어설정부터 나온다. 한국어한국어 (Hangul)한국어 (101/103키 호환) 뭐 이런식으로 나오는데 한국어 (Hangul)로 설정하면 된다. 기존에 써놓은 방법은 병맛이라 아래 방법으로 하는게 맞는 것 같다. 추가, 펌) 위의 방법이 안 통하는 경우CentOS에서 처음 뜨는 파이어폭스에서 한영키(노트북 Alt키)를 눌러보면 메뉴가 열리는 경우가 있다. 이유는 얘가 완전히 Alt키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구글에 검색하..

리눅스 2016.12.23

[일본] 한국 폰으로 일본에서 LTE 사용하기

지난 2년간 한국폰을 가져와서 쓰겠다고 가라케 + 포켓와이파이 조합으로 고통을 겪고 마침내 얻어낸 MVNO SIM. 만 20세가 넘어서 신용카드도 발급받은지 오래고 (MVNO는 왠만하면 다 카드만 받는다) 이제 싸게 폰을 쓰는일만 남았다 싶었는데... 이게 웬일... LTE가 안된다! 순간 열이 확 뻗쳐서 U-mobile 홈페이지를 들어가봐도 APN 설정밖에 없는 상황. 구글에 U-mobile LTE APN을 쳐봐도 똑같은 결과만.... 홈페이지 들어가봐도 도코모 LTE 커버리지에선 LTE를 쓸 수 있다고 한다. (내가 사는 생활 반경은 다 커버리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떠있는 3G... 하.. 노답이네 하는 순간 공대생의 지식을 이용하여 슬기롭게 풀어나가기로 했다. 내 KT 갤럭시 노트 5는 다..

일본/생활 2016.11.04

[일본] 일본에서 신용카드 만들기

일본에서 신용카드 만드는건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특히 유학생에게 관대한데, 저같은 경우는 통장 잔고가 0원 일 때도 서류심사 통과되더라구요. 유학생은 보통 돈이 많다는 인식때문에 신용카드를 잘 내준다고 하는 설이 있는데 사실인지는 의문... 그냥 사회 초년생들 잡기위해서 그런걸지도 아무튼 유학생이 신용카드 만드는건 크게 어렵지 않은데 한국과 다른 점은 아직도 우편으로 서류 보내고 받고 하는게 일본이라는거... (물론 일본 운전면허증이 있으면 발급해주는 곳도 있기는 한데 주된 카드사들은 우편) 기본적으로 일본에선 직불카드(Debit Card, デビットカード), 즉 체크카드를 별로 취급을 안합니다. 대신 Suica(도쿄), ICOCA(교토)같은 교통계 IC카드나 신용카드와 연동된 QuickPay등이 왠만..

일본/생활 2016.10.14

[일본] 일본에서 휴대폰 혹은 유심을 구입하기

주의! 지극히 경험에 입각한 글이고, 객관적 사실과 다를 확률이 꽤나 있으므로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에게는 아는척 해도 괜찮지만 베테랑에게 아는척 하다 개쪽당하는 일은 없도록 하자. 이 글은 기본적으로 일본의 통신 3사와 계약했을때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는 글이다. 3사에 모두 적용 되는건 사무 수수료와 위약금, 유심락 해제비 정도일것 같다. 각종 수수료 먼저 사무 수수료인데 이건 통신 뿐만 아니라 모든 계약이 오가는 곳에 적용된다. 보통 어딜가나 3000엔씩 받는다. (비싼 곳은 4000엔) 문제는 이 사무 수수료에도 8%의 소비세가 붙는다는 거다. (2016년 10월 14일 기준) 그래서 3240엔 정도를 생각해야한다. 위약금의 경우는.. 상당히 쎄다. 약 반년 정도 남았을때도 위약금이 11000엔 이었..

일본/생활 2016.10.14

[구글] 구글 캘린더 공유하기

첫 글인데 일본로 유학온지도 2년이라 별로 쓸게 없어서 하고있는거나 쓰기로 했다. 유학을 사비로 오기엔 나는 거지라서 유학 프로그램을 통해 왔는데 그 장학금이 들어오는 일정이 정해져있다. 매달 그것만을 기다리고 있는데... 문제는 이 일정표가 맨날 없어진다는거다. (물론 나는 한장짜리 문서는 전부 스캔을 떠놓기 떄문에 못보진 않는데 귀찮다) 그래서 이번에 아예 마음먹고 구글 캘린더에 내년 3월까지 분의 일정을 등록을 해놨는데 혼자 쓰기는 아까워서 공유를 하기로 했다. 문제는 구글 캘린더가 생각보다 폐쇄적이고 별로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는거지. 원드라이브 같은 경우엔 그냥 주소 띡 주고 들어가서 로그인만 해서 추가 누르면 원드라이브간 공유가 끝나는데 구글은 그딴거 없다. 그냥 무조건 초대식이고 귀찮..

구글 2016.10.14
반응형
자바스크립트를 활성화시켜주세요!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