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생활

[일본] 한국 폰으로 일본에서 LTE 사용하기

나태준 2016. 11. 4. 21:17
반응형

지난 2년간 한국폰을 가져와서 쓰겠다고 가라케 + 포켓와이파이 조합으로 고통을 겪고 마침내 얻어낸 MVNO SIM.


만 20세가 넘어서 신용카드도 발급받은지 오래고 (MVNO는 왠만하면 다 카드만 받는다) 이제 싸게 폰을 쓰는일만 남았다 싶었는데...


이게 웬일... LTE가 안된다!


순간 열이 확 뻗쳐서 U-mobile 홈페이지를 들어가봐도 APN 설정밖에 없는 상황. 구글에 U-mobile LTE APN을 쳐봐도 똑같은 결과만....


홈페이지 들어가봐도 도코모 LTE 커버리지에선 LTE를 쓸 수 있다고 한다.


(내가 사는 생활 반경은 다 커버리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떠있는 3G...


하.. 노답이네 하는 순간 공대생의 지식을 이용하여 슬기롭게 풀어나가기로 했다.


내 KT 갤럭시 노트 5는 다양한 LTE 대역을 지원하는 걸로 아는데 정작 나는 그걸 활용할 방법을 모르고 있었다.


아니 알 필요가 없었다 (일본에선 포켓와이파이 쓰고, 한국에선 자동으로 잡아주니 알 필요가 없지...)


그래서 다짜고짜 LTE 주파수 대역 설정이라 검색하니 친절하게도 결과가 나와주더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일단 노트 5 에서의 작동은 보장한다.


1. 전화 앱을 실행하고 319712358을 입력한다.


2. 비밀번호 입력창에 (KT의 경우) 774632를 입력한다.


(참고한 블로그에 따르면 SK는 774632 or 996412이고 LG는 0821이라고 한다)


3. 통신사의 경고창이 뜨는데 무시하고 예쓰를 눌러준다.


4. Network Setting으로 들어간다.


5. Network Mode로 들어간다.


6. LTE B1으로 설정해준다... 는 전화는 안되고 LTE만 가능해지는 불상사가 발생한다고 하니 LTE B1/WCDMA/GSM으로 설정한다.


(LTE B1으로 전화 테스트는 안해봤다. LTE는 잘 된다)


7. 조금만 기다리면 위에 4G라고 뿅 뜬다. 인터넷 접속해보면 3G일 때와는 비교도 안되는 속도를 느낄 수 있다.



추가) LG의 경우, 위의 방법이 안된다면


1. 전화 앱을 실행하고5457#*모델번호#를 입력하면 LTE 관련 설정이 나오게 된다.


(모델번호는 검색하길 바람. 모델번호에서 숫자만 입력하면 됨)


2. LTE 대역 설정해서 LTE ALL로 설정 해주면 자동으로 꺼졌다 켜지고 일본에서 LTE를 사용할 수 있다.

반응형
자바스크립트를 활성화시켜주세요!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