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윈도우 7

[윈도우] Wifi 6 랜카드 사용시 갤럭시탭 S7 세컨드 스크린 사용 불가 문제 해결

최근에 WiFi 6 무선 랜카드를 데스크탑에 달았다. 블루투스랑 Wifi Direct 프린터 사용 때문에 달았는데, 겸사겸사 가지고 있던 갤탭 S7으로 세컨드 스크린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그런데 사용시 막상 써보니 연결이 되는 듯하다가 안되고 그냥 꺼져버렸다. 방법을 찾아본 결과 윈도우 기본 드라이버로는 안되고 인텔 사이트로 가서 최신 드라이버를 깔아야 동작한다. (현재 내가 알기론 WiFi 6 지원 랜카드의 거의 대부분이 인텔 칩을 쓴다)

윈도우 2021.08.06

[윈도우] Windows 메일(Mail) 앱 0x80070490 오류 해결 방법

부트로더 재배치를 위해 윈도우를 밀고 재설치를 했다. 근데 구글 로그인할때마다 메일에서 에러가 났다. 해결법으로 이것저것 있는데 뭐 스크립트를 실행하고 powershell을 열어서 어플을 다 다시깔고 뭐고 다 해봤는데 아무 소용 없었다. 근데 우연히 너무 간단한 해결책을 찾았다. 1. cmd를 연다. 2. wsreset을 치고 기다린다. 3. 끗..!

윈도우 2021.08.05

[Windows 10] USB / 외장하드에 Windows를 설치하기 (VHD 방식)

나중에 수정할거라서 간단히 글만 쓴다. 순서는 먼저 USB 혹은 외장하드를 초기화 하고 MBR 방식으로 컨버팅한다. 그다음 diskpart나 "컴퓨터 관리" 등 여러 방법으로 VHD 파일을 만든다. (나는 고정크기로 진행했다) (Windows 10에선 VHDX가 더 좋고 안정적이긴 한데 나는 리눅스와도 연동할 거기 때문에 혹시 몰라서 VHD로 했다) 그다음 diskpart를 열어준다. 1. lis par로 VHD 파일의 디스크 번호를 확인한다. (없으면 sel + att로 연결한다) 2. clean으로 초기화해주고 con mbr로 mbr로 변환해준다. 3. cre par pri로 파티션 만들어준다. (자동으로 생성되는 파티션은 귀찮으니 걍 냅둔다. 지우려면 sel후 del par override로 지워준..

윈도우 2017.01.16

[Windows 10] USB 없이도 PC 초기화 할 수 있게 하기

이 글에서는 USB 없이도 Windows 10을 원하는 때에 언제든지 초기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나는 내장기능 빠돌이기 때문에 윈도우 내장 기능 / 도구를 이용하는 것을 정말정말 좋아한다. Windows를 초기화하는 방법으로는 USB / DVD 등의 별도 미디어를 이용한 윈도우 재설치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매번 USB에 Windows 10 설치 미디어를 담아놓을 수도 없는 노릇이고, Windows 10 전용 설치 미디어 USB를 구입하기도 좀 그렇다. 물론 4GB정도 되는 USB를 만원 이하로 사서 쳐박아 놓는것도 방법이지만서도... 나같은 사람은 그 USB를 찾기 귀찮거나 잊어버리고 만다. 그런데 Windows 10에서는 그것 보다 훨씬 더 간단한 방법이 있다! (사실 윈도우 10을 기준으로..

윈도우 2017.01.09

[Windows 10] 라이브러리 폴더 변경하기

딱히 어려울 것도 없어서 간단하게 사진 한장으로 끝내려고 한다. 그냥 각 라이브러리 폴더 (문서, 바탕화면, 다운로드, 사진, 음악, 동영상)를 우클릭 해서 속성에 들어가서 위치 탭을 보면 위와같이 나온다. XP 시절엔 레지스트리를 수정해야되서 내가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배포하기도 했지만... Windows 10에선 그런 쓰잘데기 없는 짓은 할 필요가 없다. 가볍게 수정만 하면 된다. 물론 이 6번의 반복도 노가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을 위해서 프로그램을 만들어 볼 의향은 있다.

윈도우 2016.12.28

[Windows 10] USB / 외장하드에 Windows를 설치하기 (2 / 3)

이번에는 USB / 외장하드"로" Windows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흔히 쓰는 방법처럼 rufus를 이용해 ISO 통째로 USB에 덮을 수는 없다. rufus를 띄워보면 알겠지만.. rufus는 파티션이 아니라 USB 통째로 파티셔닝하고 포멧하고 이미지를 덮기 때문이다. (저번에 했던 삽질을 물거품으로 만들려면 해도 말리지 않는다.) 본격적으로 시작하기에 앞서 전제사항은 앞에서 썼던 드라이브 문자와 경로를 그대로 갖다 쓰는 것으로 한다. (EFI 드라이브 문자: S:\, Windows 드라이브 [USB] 문자: E:\, 설치 이미지 드라이브 문자: G:\, 작업 폴더: C:\WIMimage) 1. 먼저 G:\sources [Image] 폴더를 E:\sources [USB]로 복사한다..

윈도우 2016.12.28
반응형
자바스크립트를 활성화시켜주세요!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