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지극히 경험에 입각한 글이고, 객관적 사실과 다를 확률이 꽤나 있으므로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에게는 아는척 해도 괜찮지만 베테랑에게 아는척 하다 개쪽당하는 일은 없도록 하자.
이 글은 기본적으로 일본의 통신 3사와 계약했을때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는 글이다.
3사에 모두 적용 되는건 사무 수수료와 위약금, 유심락 해제비 정도일것 같다.
각종 수수료
먼저 사무 수수료인데 이건 통신 뿐만 아니라 모든 계약이 오가는 곳에 적용된다. 보통 어딜가나 3000엔씩 받는다. (비싼 곳은 4000엔)
문제는 이 사무 수수료에도 8%의 소비세가 붙는다는 거다. (2016년 10월 14일 기준)
그래서 3240엔 정도를 생각해야한다.
위약금의 경우는.. 상당히 쎄다.
약 반년 정도 남았을때도 위약금이 11000엔 이었다. (au 폴더폰 기준)
거기에 할부금도 10000엔 가량 남아있어서 나는 그당시 그냥 해약을 포기했다. (싼 U-mobile로 넘어가려 했는데)
유심락 해제비는 도코모는 내가 알기론 유심락을 이미 해제해서 주는걸로 알고있다.
한국에서는 풀린지 한참 된 유심락이 일본에서는 아마 작년인가 올해 6월에야 풀렸다고 한다.
늦게 풀린 것도 서러운데 심지어 돈까지 비싸게 받아간다.
내가 알기로 4000엔 가량 받아가고 여기에도 아마 소비세가 붙는걸로 안다.
벌써부터 암에 걸릴거 같지만 본 내용은 이제 시작이다.
일본은 통신사가 진짜 쌩 양아치다.
한국은 사방에서 갈궈대서 이제 많이 나아진거 같다.
메이저 통신 3사의 휴대폰 요금
먼저 도코모의 경우
2년 약정 및 기기 할부로 iPhone 7 32GB를 고르는 경우, 통화플랜과 데이터 플랜 (5GB + 학생 보너스 1GB)에 8400엔 가량이고,
2년 약정 및 기기 일시불로 iPhone 7 32GB를 고르는 경우, 약 5000엔 가량이다.
(사실 도코모 홈페이지에 가면 요금 시뮬레이션이 있는데 후배들 때문에 iPhone 7 32GB만 해봤다)
물론 이 요금에서 에누리 한푼 없는건 아니고, 직접 대리점을 가면 캐시백으로 30000엔 가량 주기도 하고, 쓰던 아이폰 반납시 기종에 따라 16000~30000엔가량 준다.
(단, 계약서에 안써있거나 일본어가 딸리면 받아내기 힘들다 <- 다시한번 말하지만 일본 통신사는 양아치다)
소프트뱅크의 경우도 위와 비슷한 조건에 5GB에 8000엔 가량하고, 일시불 또한 5000엔 가량 한다.
au는 별로 관심이 없어서 안 알아봤지만 내 카라케(폴더폰)가 au라서 위약금정도만 알고 있다.
(도코모만 열심히 말한거 같은데 사실 오카야마 같은 시골 촌구석탱이로 갈수록 통신 품질이 극과 극이라서 돈 있으면 도코모를 추천한다.)
약정을 안걸수는 있는데 평균 월 2000~4000엔이 추가 된다. 나같으면 치사해서 안한다.
이쯤 되면 일본의 통신사들이 얼마나 양아치인지 충분히 알 수 있을 것 같다.
저가 통신사 (MVNO)의 휴대폰 요금
그럼 이제 저가 통신사 (MVNO)들을 알아보도록 하자.
교환 유학생들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건 B-Mobile이라는 회사인 것 같다.
왜 그런지는 잘 모르겠는데 그냥 모르는 사람은 없는 것 같다.
그렇다고 B-Mobile만 있는 건 아니고 (심지어 B-Mobile은 통신 품질이 개 쓰레기다)
도코모의 좋은 회선을 임대해서 사업하는 엄청나게 많은 수의 MVNO가 있다.
어디가 어떤 회선을 쓰는지는 귀찮아서 알아보진 않았다.
내가 알고 있는 한 U-Mobile Premium(통화가능 + 데이터 무제한에 2980엔, 세금 미포함)이 도코모측 회선을 사용하는 걸로 알고있다.
추가) 아 정작 내가 쓰고있는 요금제를 안썼는데 통화가능, 데이터 3기가에 1500엔짜리 요금제를 쓰고있다. (캠페인때 들어가서 6개월간 1000엔에 사용할 수 있다. 뭐 통화량에 따라 또 달라지지만...)
야후 재팬에 검색해보면 품질, 가격 등을 비교해놓은 다나와 같은 사이트 혹은 블로그들이 즐비하다. (대부분은 홍보겠지만서도)
그런걸 보고 결정을 하면 된다.
나는 품질이 최우선이라 MVNO중에 꽤 좋은 평을 받는 U-Mobile로 결정했다. (지극히 주관적이고 비통계학적인 결정)
사실 비쿠카메라(일본 애들한테 빅카메라라고 하면 못 알아먹는다) 등에서도 BiC SIM(빅심)같은 유심을 판다.
근데 내 경험상 그런 것들은 신용카드가 필요했고 (뭐 U-mobile도 기본적으로 신용카드가 필요하지만, 인터넷으로 하면 한국 체크카드로도 가능)
무엇보다 그냥 그다지 가성비가 좋아보이지 않았다.
(실제로 좋지 않다. 선불 유심이던 후불 유심이던 가성비 꽝꽝)
그 밖에도 많은 MVNO들이 있지만 개인이 알아서 검색하는 재미도 있어야 되므로 포스팅을 마친다.
'일본 >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 생활 / 썰] 악덕 관리 회사에 걸려서 퇴거 비용으로 고생한 경험 (0) | 2019.06.01 |
---|---|
[일본] 곰팡이 제거제 추천 (0) | 2017.01.28 |
[일본] 한국 폰으로 일본에서 LTE 사용하기 (0) | 2016.11.04 |
[일본] 일본에서 신용카드 만들기 (0) | 2016.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