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환경은 CentOS 7 (서브버전 1511)에 Gnome 데스크톱 환경 으로 세팅했다.
왜냐하면, 예전에 최소 설치로 했다가 엄청 엄청 귀찮게 하나부터 열까지 다 해야됬던 기억이 있어서...
아무튼 설치는 그놈으로 해주고 재부팅까지 끝나면 언어설정부터 나온다.
한국어
한국어 (Hangul)
한국어 (101/103키 호환)
뭐 이런식으로 나오는데
한국어 (Hangul)로 설정하면 된다.
기존에 써놓은 방법은 병맛이라 아래 방법으로 하는게 맞는 것 같다.
추가, 펌) 위의 방법이 안 통하는 경우
CentOS에서 처음 뜨는 파이어폭스에서 한영키(노트북 Alt키)를 눌러보면 메뉴가 열리는 경우가 있다.
이유는 얘가 완전히 Alt키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구글에 검색하면 내 블로그 바로 밑에 나오는 블로그에 해결책이 있길래 퍼왔다. (출처 : Tistory 블로그 "Linux 세상속으로")
1. /usr/share/X11/xkb/symbols/altwin 파일을 root 권한으로 열어준다.
# sudo vi /usr/share/X11/xkb/symbols/altwin
2. 내용을 보면 윗부분에 이런 내용이 있다. 빨간 부분을 수정해준다.
참고로 vi를 안 써본 사람을 위해서... Insert키를 누르면 수정 모드로 바뀐다.
[수정 전]
partial modifier_keys
xkb_symbols "meta_alt" {
key <LALT> { [ Alt_L, Meta_L ] };
key <RALT> { type [Group1] = "TWO_LEVEL",
symbols[Group1] = [ Alt_R, Meta_R ] };
modifier_map Mod1 { Alt_L, Alt_R, Meta_L, Meta_R };
// modifier_map Mod4 {};
};
[수정 후]
partial modifier_keys
xkb_symbols "meta_alt" {
key <LALT> { [ Alt_L, Meta_L ] };
key <RALT> { type [Group1] = "TWO_LEVEL",
symbols[Group1] = [ Hangul ] };
modifier_map Mod1 { Alt_L, Alt_R, Meta_L, Meta_R };
// modifier_map Mod4 {};
};
3. 저장하고 재 부팅 해준다.
참고로 vi를 안 써본 사람을 위해서... ESC로 수정 모드를 끄고 :wq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저장 후 종료된다.
# sudo reboot (혹은 그냥 마우스로 재 부팅 해도 아무 상관 없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20.04] Ubuntu 20.04에서 애플 타임머신(AFP) 서버 설치하기 (0) | 2021.06.17 |
---|---|
[CentOS 7] MediaWiki + VisualEditor 설치하기 (0) | 2018.09.20 |
[CentOS 7] LaTeX 2017 일본어 지원 버전(pLaTeX) 설치하기 (0) | 2017.01.24 |
[Fedora] 노트북에서 한영키가 동작하지 않을시 해결방법 (0) | 2017.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