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CentOS 7] LaTeX 2017 일본어 지원 버전(pLaTeX) 설치하기

나태준 2017. 1. 24. 01:30
반응형


CentOS7에 LaTeX 2016 일본어 지원 버전(pLaTeX?) 설치하기


학교에서 pLaTeX를 쓰는데 난 집에다가 기본 LaTeX를 설치했더니 jarticle이고 뭐고 일본어 지원이 1도 안되서... 우여곡절 끝에 찾아냈다.


한국어 버전은 어떻게 설치하는지 모르겠다.


뭔 버전이던 어쨌든 yum으로 설치되는 녀석은 오래됐고 구리고 오류나서 비추


굳이 yum으로 설치하겠다면


https://gist.github.com/melvincabatuan/350f86611bc012a5c1c6


이리로 가시길~


1. 먼저 설치 ISO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 cd ~/다운로드

# wget http://ftp.jaist.ac.jp/pub/CTAN/systems/texlive/Images/texlive2017.iso


2. 다운로드 한 ISO파일을 마운트 할 디렉토리를 만들고 마운트 한 후 이동한다. (수정: 오류 해결을 위해 yum 추가)

# sudo mkdir /mnt/texlive2017

# sudo mount -t iso9660 -o ro,loop,noauto texlive2017.iso /mnt/texlive2017

# cd /mnt/texlive2017

# yum install perl-Digest-MD5


3. 설치 스크립트를 실행한다.

# ./install-tl

3-1. 옵션(O)에 보면 실행 파일을 리눅스 기본 bin 폴더들에 심볼링 링크하는 옵션이 있다. 원한다면 설정한다.

3-2. I를 눌러 설치한다. 시간은 내 컴기준 약 7분 걸린다. (SSD 256GB x 2 [RAID 0])

 

4. 설치하는 동안 심심하면 아래 3줄을 본인 홈 디렉터리(~/)의 .bashrc에 추가한다.

# export PATH=$PATH:/usr/local/texlive/2017/bin/x86_64-linux

# export INFOPATH=$INFOPATH:/usr/local/texlive/2017/texmf-dist/doc/info

# export MANPATH=$MANPATH:/usr/local/texlive/2017/texmf-dist/doc/man

cat >> 로 추가하던 vim으로 직접 추가하던 맘대로 추가한다.


4-1. 재부팅을 하던 source .bashrc로 적용을 하던 bash에 적용을 시켜준다.


5. tlmgr로 LaTeX를 업데이트 시켜준다.

# sudo /usr/local/bin/tlmgr update --self # sudo /usr/local/bin/tlmgr update -all


5-1. 그틈에 심심하면 터미널 열어서 언마운트 시켜준다.

# sudo umount /mnt/texlive2017

여기까지만 하면 설치는 끝난다.


다음은 자동 컴파일 + PDF 변환까지 해주는 스크립트 파일을 만드는 작업이다.


얘도 설치 도중에 다른 터미널 열어서 해줘도 된다.



6. edu-platex 파일을 만든다 (tex -> dvi -> pdf 변환 스크립트)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platex <FILENAME>.tex (tex -> dvi 컴파일)

dvipdfmx <FILENAME>.dvi (dvi -> pdf 변환)


이 작업을 자동화 한 것 뿐이다.

# sudo vim /usr/local/texlive/2017/bin/x86_64-linux/edu-platex


스크립트를 http://rakkyoo.net/?p=710 본문에서 잘 발췌해서 복사한다.

#!/bin/bash
 
basename=$1 # 引数からファイル名を受取る
filename=${basename%.*} # 拡張子を取った名前
pdfflag=1
dviflag=1
 
if [ -a ${filename}.tex ]; then
    # tex -> dviファイル
    platex ${filename}.tex
else
    echo "ファイル:${filename}.tex が存在しません"
    dviflag=0
    pdfflag=0
fi
 
if [ -a ${filename}.dvi ]; then
	# dvi -> pdfファイル
    dvipdfmx ${filename}.dvi
elif [ $dviflag != 0 ]; then
    echo "${filename}.dvi が作成できていないようです."
    pdfflag=0
fi
 
if [ -a ${filename}.pdf ]; then
	    # pdfファイルを開く
    open ${filename}.pdf
elif [ $pdfflag != 0 ]; then
    echo "${filename}.pdf が開けません."
fi

:wq로 저장한다.


7. 실행 권한을 부여한다.

# sudo chmod +x /usr/local/texlive/2017/bin/x86_64-linux/edu-platex


8. 멋지게 심볼릭링크까지 걸어서 마무리한다.

# sudo ln -s /usr/local/texlive/2017/bin/x86_64-linux/edu-platex /usr/local/bin/edu-platex



반응형
자바스크립트를 활성화시켜주세요!
[활성화]